인터넷에서 데이터를 주고 받기 위한 통신 규약의 한 종류
클라이언트와 서버간 데이터를 주고 받기 위한 표준 프로토콜이다
HTTP는 클라이언트-서버 구조를 따른다
즉 클라이언트의 요청(Request)에 대해 서버는 응답(Response)를 반환한다
서버간 연결을 유지하지 않는 것
각 요청 마다 새로운 연결을 생성하기 때문에 서버가 느려지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
서버간 통신상태를 유지하지 않는 것
상태정보를 저장할 필요가 없으므로 서버의 부하를 줄일 수 있다
상태정보를 관리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서버의 수평적 확장을 가능하게 한다
서버의 부하를 줄여 성능을 높일 수 있다
요청 마다 연결을 생성하고 끊기 때문에 더 많은 클라이언트의 요구를 수행할 수 있다
상태정보 필요 시 클라이언트는 매번 상태정보를 포함해서 요청해야 한다