블록
- 함수 A와 함수 B가 A → B의 순서를 가지고 있다고 가정해보자
- 이때 함수 A가 끝나기 전까지 B가 실행되지 않으면 블록이라고 한다
- A 함수는 자신의 할 일을 마칠 때까지 제어권을 계속 가지고 있다가 종료 후 제어권을 B에게 넘긴다
논블록
- 함수 A와 함수 B가 A → B의 순서를 가지고 있다고 가정해보자
- 이때 함수 A가 끝나기 전에 B가 실행되면 논블록이다
- 함수는 호출되자마자 제어권을 반환한다
동기
- 블록과 유사하지만, 호출된 함수의 return 값을 확인한다는 차이가 있다
- 순서대로 실행 : 한 작업이 완료될 때까지 다른 작업을 시작하지 않는다
- 작업을 직렬적으로 수행한다
- 작업의 순서가 일정하기 때문에 결과를 예측하기 쉽다
- 비동기 방식에 비해 더 오랜 시간이 걸린다